2009년 7월 4일 토요일

(재료역학) 항복점 구하는법

질문 답변

인장시험기에서 인장시편(규격에 맞게)을 봉일경우 직경, 사각형일경우 단면적을 측정한 후에 당겨서 stress(응력)-strain(변형률) curve를 (또는 load-displacement curve)를 확인해서 거기서 직선이 아닌 커브를 그리는 점을 항복점이라고 하고 그때의 stress를 항복강도라고 하죠

연강의 경우는 찾기 쉬운데(그림을 확인하시길) 그외의 강이나 비철은 직선과 곡선 범위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주로 0.2% offset 즉 strainㅇ 0.2%인점에서 탄성구간(직선인구간과 평행하게 그었을 때 만나는 점을 항복점이라고 하죠..

직접 그림을 보셔야 되는데..^^ 재료공학 또는 다른 사이트에 나와있는 그림을 보시면 이해되여

답변들

비파괴

ahn7917 (2003-03-25 12:45 작성) 이의제기
항복 강도
(Yield Strength)
항복점에 해당하는 응력을 말한다. 항복점이 명확하지 않은 재료
에서는 적당한 영구 변형(보통 0.2%)을 일으켰을 때의 하중을 원래
의 단면적으로 나눈 값. 이것을 σ0.2 로 나타낸다.

댓글 1개:

  1. Verу good post! We will be linκing to this great article on our ωebsіte.
    Keep up the great wrіting.

    my ωeb-site; payday loans

    답글삭제